건강보험
-
외국인 국민 건강검진 무료로 받을수 있을까?International Marriage/Information 2021. 3. 11. 08:52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무조건 건강보험료 납부가 필수이다. 따라서 건강보험을 들고 있을시에 서비스인 '국민건강검진' 이라는 것을 주기적으로 받을 수 있게 된다. · 지역가입자 : 세대주와 만 20세 이상 세대원 중 짝수연도 출생자 · 피부양자 : 만 20세 이상 짝수연도 출생자 · 직장가입자 : 비사무직 전체, 사무직 대상자 (2년 1회/ 짝수연도 출생자) 1. 지역가입자와 직장 피부양자는 주소지로 우편 발송 2. 직장 가입자는 해당 사업장으로 통보 그럼 외국인도 건강검진을 받을수 있을까? 최근 법 개정 이후 외국인등록을 하게 되는 모든 외국인들에게 건강보험 가입은 '의무화'가 되었습니다. 따라서 외국인도 단기로 놀러오시는분을 제외하고 정식적 비자를 받아 오시는 모든 외국인들은 건강보험을 의무적으로 가입 하..
-
외국인 배우자(남편, 아내)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 방법International Marriage/Information 2020. 12. 24. 18:49
'피부양자'F-6비자를 소유한 배우자 분들은 남편이 직장인이면 그 피부양자 등록 하여 보험 가입이 됩니다.남편이 소득이 없다면 남편이 지역가입자로 가입 하여 그 피부양자로 가입 가능 합니다. 제 와이프는 아직 소득이 없습니다. 따라서 '피부양자'로 건강보험을 가입 하게 됩니다.외국인 와이프가 아니여도 내국인들도 '피부양자'등록 모두 할 수 있습니다. 건강 보험 내는 종류는 '지역 가입자', '직장 가입자'가 있습니다. 제 다른 블로그에 자세히 설명 되어 있습니다. 본인이 직접 가입 할 수도 있지만, 소득이 없다면 남편 또는 아내의 '피부양자'로 등록 하면 됩니다.*피부양자로 등록이 되어도 동일하게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수 있습니다. 또한, 피부양자로 등록 되었다고 보험료가 인상되거나 하지 않습니다. 꼭 등..
-
건강보험료란?Information 2020. 4. 19. 16:44
이번 코로나 재난지원금은 건강보험료(이하 건보료)를 기준으로 국민의 소득을 정한다고 하는 정부 지침이 있었네요. 왜 건보료를 기준으로 할까요? 대체적으로 건보료는 월급을 기준으로 정해지기 때문에 빠르게 국민의 소득을 측정 하기에 적합하다고 하는게 정부의 방침 입니다. 건강보험료란? 건강보험료는 부담이 되는 진료비로 생계 유지가 힘들어 짐을 방지 하기 위해 국민이 월별 보험료를 내고 추후 병원비 진료 시 보험급여로 보장 하기 위한 사회보장제도 입니다. 이는 우리가 흔히 들게 되는 암보험 같은 민간보험이랑 다르게 사회에서 운영 하는 보험 제도 입니다. 옛날엔 의료보험이라 불렸지만 지금은 건강보험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가입 대상 국내 거주하는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납입 의무가 있습니다. 부양자는 피부양자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