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
외국인도 건강보험 가입 가능할까?International Marriage/Information 2020. 4. 19. 17:06
전에 건강보험 관련 포스팅을 했습니다. https://mickael-k-world.tistory.com/37 건강보험료란? 이번 코로나 재난지원금은 건강보험료(이하 건보료)를 기준으로 국민의 소득을 정한다고 하는 정부 지침이 있었네요. 왜 건보료를 기준으로 할까요? 대체적으로 건보료는 월급을 기준으로 정해지기 때문에 빠르게.. mickael-k-world.tistory.com 본 포스트에서는 외국인도 건강보험이 가입 가능할지에 관해 나누어 보겠습니다. 외국인도 가입 가능 할까? 네 가입 가능 합니다. 한국인과 동일하게 직장가입자 및 지역가입자로 가입이 가능 합니다. D-2비자나 F-6비자는 즉시 바로 가입이 의무화 입니다. 그 외에는 6개월 이상 체류 하는 외국인은 의무적으로 내야 합니다. 만약 이전에 ..
-
국민배우자(F-6)에서 영주권(F-5-2) 비자로 변경 조건 - (행정사 없이 혼자 하기)International Marriage/Information 2020. 4. 15. 18:31
전 포스트에서 F-6 비자에 대해 설명 하였습니다.이번엔 F-5로 바꿀 시에 어떤 조건이 있어야 바꿀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정확히 F-5-2 비자 입니다. F5에도 여러 종류가 있지만 F-5-2비자가 국민의 배우자 입니다.)*F6비자는 결혼이민, 국민의 배우자 등으로 불리고 있습니다.*F5비자는 영주권 비자 입니다. 그중에서도 F-5-2는 국민배우자가 신청하는 영주권 비자 입니다.※더욱 자세한 사항은 하이코리아 1345번으로 전화 해 보시면 됩니다.F6 비자로도 계속 지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보았을때는 F5(영주권)비자나 국내 귀화로 변환 하면 더 살기 편해 질 수 있습니다.귀화는 좀 더 고민을 많이 해 봐야 겠지만 F5비자는 번거로움이 덜 해지니 모두 고려 해 봐야 할 문제죠.F5비자란?F5 비..
-
F-6(국민의배우자) 비자란?International Marriage/Information 2020. 4. 15. 18:30
F6 비자란? 한국인과 결혼하여 외국인이 신청 하여 받을 수 있는 체류 자격 입니다. 대한민국 국민과 결혼한 외국인이 결혼생활을 위해 대한민국에 체류하고자 할 때 부여받을 수 있는 체류자격. 흔히 "F6 비자" 라고 불리우지만, 정확한 체류자격 세부 약호는 F-6 (결혼이민)의 하위 분류인 F-6-1 (국민의 배우자)이다. F6 비자는 큰 분류이고 여기서 3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F-6-1 F-6-2 F-6-3 결혼 시 혼인 신고 후 한국에 머무를 목적으로 발급 한국인 사이에 생긴 미성년 자녀를 한국에서 양육 하려 할 때 발급 본인 귀책사유 없이 한국인과 이혼 할 경우 발급 저는 와이프와 혼인신고 및 F-6-1비자를 신청 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로 전에 작성을 하였는데 -> 여기 추가로 나중에 신청 관련..
-
외국인 거소 사실 증명 방법International Marriage/Information 2020. 4. 15. 13:36
이전에 주민등록 상 세대원 등록에 관하여 다뤘습니다. https://mickael-k-world.tistory.com/25 외국인 세대원 등록 방법 외국인 신분을 증명하는 '외국인 등록증'이 있더라도, 주민등록 상 외국인을 '세대원'으로 등록 하기 위해서 어떻게 할까요? 2018년 법 개정 이전엔 주민등록 상 가족이 외국인여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법 개정.. mickael-k-world.tistory.com 이번엔 거소 사실 증명 에 관하여 다루겠습니다. 거소 사실 증명은 결혼 후에도 그리고 이사를 갔다거나 이럴 때도 꼭 해주어야 합니다. 그래야 이후 출입국관리사무소에서 보내는 우편 같은게 그 주소로 가게 되겠죠. 거소 사실 증명 방법 먼저 하이코리아에 가서 가입을 합니다. https://www.hiko..
-
국회의원 선거 외국인 투표권International Marriage/Information 2020. 4. 15. 11:49
국내 외국인이 점차 많아지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8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을 보았을때 외국인 주민수가 205만명에 육박한다고 합니다. 국내 총 인구가 5100만명인거에 비하면 4%나 되네요. 국내 100명중 4명은 외국인이라는 사실 아셨나요?? 그럼 우리가 국회의원이나 대통령을 뽑을때 하는 선거에 외국인들이 과연 선거를 할 수 있을까요? 간단히 말하면 가능 하기도 하고 불가능 하기도 합니다. 선거권 취득 조건 첫번째로 만 18세가 넘어야 합니다. 두번째로는 국회의원선거, 대통령선거, 지방의원선거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지방 선거 국회의원 선거 대통령 선거 일반 유학생 (D4 비자 등) 불가능 결혼 비자(F6 비자) 불가능 영주권(F5) 취득후 3년이 지난 사람 가능 불가능 한국 국적..